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아름다운 우리말] 모순과 집착

우리는 모순 속에서 삽니다. 나의 지향과 삶의 방향이 서로 엇갈리며 부끄러운 삶을 삽니다.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새벽 일찍 잠에서 깨어 모순투성이인 나의 모습에 멍하니 앉아 있습니다. 답답한 일입니다. 모순에서 벗어나고 싶습니다.     우리는 물질적인 욕심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하지만, 물질적 풍요를 부러워합니다. 여태껏 살아온 삶이 그러하고, 앞으로의 삶도 그러할 겁니다. 쉬운 일이 아닙니다. 평생을 물질에서 자유로운 삶을 살고 싶었지만, 문득 다가오는 욕심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갖고 싶은 게 많다기보다는 놓치지 않고 싶은 게 많습니다. 물욕은 집착에서 비롯됩니다.   집착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하지만 머릿속은 온갖 집착입니다. 모든 괴로움의 근원이 집착임을 알고 있지만, 살면서 오히려 집착이 늘어납니다. 집착 중에서도 제일 괴로운 집착은 자식에 대한 집착입니다. 떼어낼 수 없는 집착에 삶의 무게가 짙어집니다. 어쩌면 물욕의 근원에서도 자식에 대한 집착이 가장 큰 원인일 겁니다. 집착과 사랑의 경계가 모호합니다.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구속하여, 자유를 잃습니다.   나이 들면서 집착은 고집이 되기도 합니다. 내가 아는 것, 믿는 것이 유일한 가치인 양 생각하여 머리가 굳어갑니다. 유연성이 사라진 사고가 남을 가볍게 평가합니다. 젊은 사람의 행동을 퇴폐라고 진단하고 욕하기도 합니다. 그러면서도 그런 세상을 몰래 엿보기도 합니다. 사고와 감정이 모순됩니다. 내가 내린 평가가 오히려 한없이 가볍습니다.   ‘요즘 것들은’이라고 쉽게 평가하면서도, 나의 과거는 기억하지 못합니다. 가벼운 음악이라고 비난하면서도 어느새 내 발은 박자를 맞추고 있습니다. 어깨를 들썩이기도 합니다. 젊은이의 옷차림을 비난하면서도 그런 모습을 힐끔거리며 쳐다봅니다. 젊음을 부러워하면서도 욕하는 모순 속에서 살고 있는 겁니다.   어쩌면 제일 심한 모순은 정치를 보면서 일어납니다. 정치가를 욕하고, 정치의 타락과 권력의 타락을 비난하지만, 권력에 기대고 맙니다. 나에게 돌아올 혜택을 반기고, 나에게 발생할 불이익에 화를 냅니다. 정치에 대한 기준이 나에게 있음을 발견할 때마다 부끄럽기도 합니다. 욕하면서 욕심내고 있는 모습입니다.   모순 속에서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삶 속에 가득한 모순을 덜어내는 방법은 없을까요? 철학이 필요한 시간입니다. 삶이 바빠서 철학에서 멀어졌다고 이야기하지만, 오히려 철학에서 멀어져서 삶이 바쁜 것일 수 있습니다. 최근에 읽은 철학책은 무엇이 있습니까? 오랫동안 나를 붙잡아주는 책이나 사상은 무엇이 있습니까?   저는 요즘 다양한 책을 보고, 다양한 강의를 듣습니다. 논어나 맹자, 도덕경이나 장자, 법화경이나 금강경, 요한복음 등 고전을 읽고, 또 읽습니다. 좋은 강의도 영상매체 속에 한가득 있습니다. 고마운 일입니다. 책을 읽고, 강의를 들으면서 삶의 지혜가 수천 년간 이어져 오고 있음에 감탄하게 됩니다. 그렇게 살아야겠다고 생각하는 시간입니다. 하지만 곧바로 세상 속에서 나를 잃어버립니다.   살고 싶은 삶과 살고 있는 삶의 모순이 참으로 큽니다. 모순으로 가득한 삶을 살기에 지난밤 꿈자리가 뒤숭숭했습니다. 식은땀을 한바탕 흘리고 나니 정신이 아득합니다. 아찔하다는 생각도 듭니다. 누구도 알지 못하는 남은 날을 모순에서 벗어나기 위해 더 깊이 생각하며 살아야겠습니다. 모순과 집착은 불안의 원인입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모순 집착 타락과 권력 금강경 요한복음 물질적 풍요

2025-04-2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